기회비용3 [맨큐의 경제학#09/Ch3]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오늘은 무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해 보인 것에 이어서, 절대우위와 비교우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는 다른 생산자보다 더 적은 생산요소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한 나라에서 A라는 제품에 대한 기회비용이 어떠하든지 간에, 다른 나라에 비해 생산요소가 덜 투입된다면 A에 대한 절대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절대우위의 개념으로는 무역을 통해 얻는 이익을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애덤 스미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애덤 스미스 사후 나온 개념인 비교우위(Comparative Advatange)를 통해 이익을 설명할 수 있었다. 비교우위는 다른 생산자보다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재화를 생.. 2020. 10. 12. [맨큐의 경제학#07/Ch2] 생산 가능 곡선(Production Possibilities Frontier) 오늘은 생산가능곡선을 그리는 방법과 각각의 그래프 모양에 따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ies Frontier 또는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PPF)은 어떤 한 경제(국가 등)가 생산 가능한 산출물을 조합한 것이다. 생산요소와 기술을 이용하여 이 산출물을 만든다. ♠라는 나라가 있다고 하자. 이 나라는 총 두 가지 물품인 전구와 쌀을 생산한다. 이러한 물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은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노동력만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총노동력은 하루에 1,000시간이라고 가정한다. 한 개의 전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0시간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1kg의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1시간의 노동력이 필요.. 2020. 10. 7. [맨큐의 경제학#05/Ch1 Summary]경제학의 10가지 법칙/10대 기본원리 요약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How People Make Decisions)] 얻는 것이 있다면 잃는 것도 있다(People Face Trade-offs) : 효율성(Efficiency)과 평등(Equality) 가격은 그것을 위해 당신이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The Cost of Something is What You Give Up to Get It)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합리적인 사람은 한계적으로 생각한다(Rational People Think at the Margin) : 합리적인 사람(Rational people) 사람들은 유인책에 반응한다(People Respond to Incentive) : 유인책(Incentive)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How Peop.. 2020.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