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맨큐의 경제학14

[맨큐의 경제학#28/Ch14] 경쟁시장에서의 이익의 극대화 맨큐의 경제학 챕터 14에서는 완전경쟁시장의 여러 특징(TR, AR, MR 등의 값)과 이익의 극대화 방법, 단기적인 상황과 장기적인 상화에서의 회사가 취하는 행동의 차이점에 대해 다룬다. 우선 완전경쟁시장(Completely Competitive Market)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고 완전히 똑같은 제품을 사고팔고 팔기 때문에 구매자와 판매자는 가격 수용자(Price Takers)가 된다. 즉,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회사가 시장을 들어가고 나가는데 제약이 없다. 총수입(Total Revenue, TR)과 평균 수입(Average Revenue, AR), 한계 수입(Marginal Revenue, MR)의 계산 식은 다음과 같다. 경쟁시장에서 가격은 생산량에 따라 변하지 않.. 2020. 12. 9.
[맨큐의 경제학#27/Ch13] 고정비와 변동비, 평균고정비용과 평균변동비, SRATC와 LRATC 챕터 13의 뒷부분에서는 비용을 더 자세히 다룬다. 고정비(Fixed Costs)와 변동비(Variable Cost)의 평균 비용(Average Costs)부터 총비용의 단기적 평균(Short Run Average)과 장기적 평균(Long Run Average)에 대해 알아본다. 고정비는 생산량의 증감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용을 말한다. 이전 게시물의 예시에서는 지대(100만 원)가 고정비에 해당한다. 고정비의 예로는 장비 대여비, 대출(Loan) 이자 등이 있다. 변동비는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변하는 비용을 말한다. 이전 게시물의 예시에서는 노동자의 임금이 변동비에 해당한다. 재료비, 임금 등이 변동비에 해당한다 총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를 합한 값이다. 생산량에 따른 고정비와 변동비가 다음의 표와 같다.. 2020. 12. 8.
[맨큐의 경제학#26/Ch13]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경제적 이익과 회계상 이익, 노동의 한계 생산물과 생산 비용 맨큐의 경제학 챕터 13 앞부분에서는 수익의 극대화(Maximization of Profits), 명시적 비용(Explicit Costs)과 암묵적 비용(Implicit Costs), 경제적 이익(Economic Profit)과 회계상 이익(Accounting Profit), 생산함수(Production Fuction), 노동의 한계 생산물(Marginal Product of Labor)과 생산 비용(Production Cost)에 대해 배운다. 맨큐의 경제학 챕터 10에서는 시장 실패와 관련해 외부효과에 대해서 다루며, 챕터 11에서는 공공재를, 챕터 12에서는 세금에 대해 다룬다. 중복되는 내용이 많아 챕터 13으로 바로 넘어가려 한다. 모든 기업의 목표는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수익은 총수입에서.. 2020. 12. 8.
[맨큐의 경제학#25/Ch9] 국제무역과 관세, 무역 규제 맨큐의 경제학 챕터 9는 국제무역의 이익구조를 챕터 7과 챕터 8에서 배운 잉여(Surplus)와 세금(Tax)을 이용해 설명하고, 관세(Tariff)의 영향과 수입쿼터(Imprt Quota), 무역 규제(Trade Regulation)에 대해 다룬다. 챕터 3에서 우리가 국제 무역(International Trade)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때문이라고 하였다. 한 재화에 대해 다른나라보다 더 낮은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을 가지면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한다.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을 서로 수출하면, 모든 나라가 교역을 통해 이득을 취할 수 있다. 국제 무역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직 국내 구매자와 판매자만 존재한다... 2020.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