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28 [맨큐의 경제학#12/Ch4] 수요와 공급곡선, 초과 공급과 초과수요 한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곡선을 그렸을 때, 둘이 만나는 지점을 균형점(Equilibrium)이라 한다. 균형점에서는 공급량과 수요량이 정확히 동일하다. 이때의 가격을 균형 가격(Equilibrium Price)라고 하고, 각각의 수요량과 공급량을 균형 수량이라 한다.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를 과잉(Surplus, 초과공급)이라 한다. 과잉 상태에서 판매자들은 가격을 내림으로써 판매량을 늘린다. 가격을 내리면 수요량이 증가하므로 시장의 과잉은 줄어든다. 평형점에 도달할 때까지 가격 하락하여 과잉이 없어진다. 수요량이 공급량보다 많은 것을 부족(Shortage, 초과수요)라고 한다. 부족 상태에서 판매자들은 가격을 올린다. 가격을 올리면 수요량이 감소하므로 시장의 부족은 줄어든다. 평형점에 도달할.. 2020. 10. 13. [맨큐의 경제학#11/Ch4] 수요 곡선의 이동과 공급 곡선의 이동, 그 요인 수요곡선(Demand Curve)은 다른 모든 것들이 변하지 않을 때 가격의 변화가 수요량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다른 것들은 수요량에 영향을 주는 비가격적인 요인(Non-price Determinants)을 말한다. 이 비가격적 요인은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수요곡선의 이동 요인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구매자의 수(Number of Buyers)이다. 구매자의 수가 증가하면 각 가격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하고,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구매자의 수가 감소하면 각 가격에 대한 수요량이 감소하고,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두 번째로, 수입(Income)이다. 정상재(Normal Good)의 경우, 수입이 증가하면 수요량도 증가한다... 2020. 10. 13. [맨큐의 경제학#10/Ch4] 시장과 경쟁, 수요와 공급 시장(Market)은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로 이루어진 하나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구매자는 그 상품의 수요(Demand)를 결정하고, 판매자는 상품의 공급(Supply)을 결정한다. 시장에는 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과 완전경쟁시장(Perfectly Competitive Market)이 있다. 경쟁시장은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들이 존재하고 각자가 시장 가격에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영향을 가지고 있는 시장을 말한다. 각각의 영향은 무시 가능하나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다. 완전경쟁시장이란 모든 재화가 완전히 동일한 시장이다. 좀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하여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살필 필요가 없다. 가격조차 똑같다. 경쟁시장과 달리 구매자와 .. 2020. 10. 13. [맨큐의 경제학#09/Ch3]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오늘은 무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해 보인 것에 이어서, 절대우위와 비교우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는 다른 생산자보다 더 적은 생산요소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한 나라에서 A라는 제품에 대한 기회비용이 어떠하든지 간에, 다른 나라에 비해 생산요소가 덜 투입된다면 A에 대한 절대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절대우위의 개념으로는 무역을 통해 얻는 이익을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애덤 스미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애덤 스미스 사후 나온 개념인 비교우위(Comparative Advatange)를 통해 이익을 설명할 수 있었다. 비교우위는 다른 생산자보다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재화를 생.. 2020. 10.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