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6 [맨큐의 경제학#24/Ch8] 세금의 영향과 조세의 자중손실(DWL) 맨큐의 경제학 Ch6의 세금에 대한 내용을 다시 정리해보자면, 세금은 구매자가 지불하는 가격과 판매자가 받는 가격 사이에 위치하며, 구매자가 지불하는 가격을 올리고 판매자가 받는 금액은 내린다. 이 때문에, 세금은 거래되는 재화의 양을 감소시킨다. 누구에게 세금을 부과되는가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효과를 낸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자. [맨큐의 경제학#19/Ch6] 세금과 조세귀착(세금의 분담) 오늘은 정부가 시장의 결과를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세금(Taxes)에 대해 알아보자. 정부는 세금을 통해 공공프로젝트의 자본을 마련한다. 이 공공프로젝트에는 도로 수리, achaka.tistory.com 세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다음과 같은 균형 가격이 5만 원이.. 2020. 12. 6. [맨큐의 경제학#23/Ch7] 총잉여와 시장 효율, 시장 실패 총 잉여(Total Surplus)는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CS)와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PS)의 합을 말한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소비자 잉여는 구매자가 재화에 두는 가치에서 구매자가 지불해야 하는 가격을 뺀 것이다. 이 소비자 잉여는 구매자가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이익이라고 볼 수 있다. 생산자 잉여는 판매자가 받는 가격에서 판매자의 생산 비용을 제한 것이다.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생산자 잉여는 판매자가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이익이다. 한 시장의 총잉여는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이므로, 구매자가 재화에 두는 가치에서 판매자의 생산비용을 뺀 것과 같다. 자원의 배분(Allocation of Resources)은 시장 경제에서는 수많은 분권.. 2020. 12. 5. [맨큐의 경제학#22/Ch7]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CS)는 구매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WTP)에서 재화의 실제 지불 가격을 뺀만큼의 금액을 말한다. 바로 이전의 글에서 사용했던 예를 이용하여 이를 알아보자. [맨큐의 경제학#21/Ch7] 후생경제학과 지불의사(WTP) 맨큐의 경제학의 Chapter 7은 소비자와 생산자 그리고 시장의 효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후생경제학이 무엇인지와 지불의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후생경제학(Welfare Economics) achaka.tistory.com 수요량-가격 그래프에 각각의 지불의사를 표시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최신형 노트북의 가격이 180만원인 경우 혜성의 지불의사는 200만원이므로 혜성의 소비자 잉여는 200-.. 2020. 12. 5. [맨큐의 경제학#21/Ch7] 후생경제학과 지불의사(WTP) 맨큐의 경제학의 Chapter 7은 소비자와 생산자 그리고 시장의 효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후생경제학이 무엇인지와 지불의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후생경제학(Welfare Economics)은 자원의 배분(Allocation of Resources)이 경제적 후생에 어떻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원의 배분은 각 재화를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 어떤 생산자가 생산하고, 어떤 소비자가 소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구매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WTP)는 한 재화를 위해 지불할 수 있는 최대치를 말한다. 지불의사는 구매자가 그 재화에 두는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4명의 최신형 노트북에 대한 지불의사가 다음의 표와 같.. 2020. 12. 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반응형